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용인여행
포은문화제
  • 포은문화제 사진
  • 포은문화제 사진

포은문화제 소개

소개
포은 정몽주 선생은 100만 용인시민의 얼입니다.

포은문화제는 고려 말 충신이자 동방이학의 시조로서 우리나라 성리학의 초석을 다진 포은 정몽주 선생의 충절과 학덕을 기리는 행사입니다.
문화체육관광부 2003년 6월 이달의 문화인물로 선정되어 포은 정몽주(圃隱 鄭夢周)선생의 높은 충절과 선비정신의 표상을 널리 기리고자 용인문화원과 충렬서원은 기념사업(행사) 계획의 일환으로 용인지역의 문화적인 의미를 부여한 지역축제로 발전시켜서 연례적인 행사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그가 남긴 충효례(忠孝禮) 정신을 선양하여 현대인의 삶의 가치를 재정립할 뿐 만 아니라 선생의 학맥을 재조명하여 용인이 동방성리학의 성지이며 예향의 고장으로서 새롭게 인식되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매년 10월 개최합니다.
주요행사인 포은선생 천장례(遷葬禮)행렬 재현, 추모제례(追慕祭禮)는 용인이 동방의 예학(禮學)을 대표하는 지역임을 보여줍니다. 전국 한시대회, 전국 학술대회, 백일장 대회, 그밖의 여러 전통문화 예술공연은 용인 시민의 문화적 역량을 과시하기에 충분합니다.

주요프로그램
포은선생천장행렬(圃隱先生遷葬行列)

포은 정몽주선생은 기울어가는 고려왕조를 회생시키려다 개성 선죽교에서 희생되었다. 그떄 나이 56세였다. 순절한지 9년후에야 비로소 선생의 충절과 학문이 인정되었다. 조선 태종 즉위년(1401)에 선생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문충공(文忠公)이라는 시호와 익성부원군(益城府院君)의 작훈을 내렸다. 태종6년(1406) 3월에는 개성의 해풍(풍덕)에 촞아하엿던 묘소를 지금의 용인시 모현면 능원리 문수산 기슭으로 옮겨, 부인 경주이씨와 합장하였다. 본래는 포은의 면례지가 능원리가 아니었다고 한다. 전설에 의하면 포은 선생이 신원(伸寃)되자 고향인 경북 영천으로 천장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면례행렬이 지금의 수지읍 풍덕천에 이르렀을때 신기한 일이 생겼다. 앞에 내세웠던 명정이 바람에 날려 어디론가 날라가버렸다. 이를 이상하게 여긴 면례꾼들이 따라가보니 그 명정은 지금의 묘역에 떨어졌다. 지관을 불러 확인해보니보기 드문 명당이었다. 여러 사람들과 숙의한 끝에 포은선생의 뜻으로 알고 그곳에 장례를 모시기로 하였다. 이로인해 포은선생의 묘소를 용인에 모시게 되었고 그의 후손들이 묘막을 짓고 살기 시작한 이래로. 오늘날 능원리는 영일정씨의 집성촌을 이루게 되었다. 포은선생의 묘소와 관련된 지명으로 수지읍에 풍덕내가 있다. 이는 본래 '풍덕에서 오신다(豊德來)'는 뜻에서 비롯하였다고 전한다. 그런데 '오신다'의 뜻인 '來'가 후대에 '내(川)'로 변이된 것이다. 포은선생 천장 행렬을 풍덕천에서 시작하는 것은 이에 연유한 발상이다.

포은선생 추모제례(圃隱先生 追慕祭禮)

용인은 예로부터 예학(禮學)의 중심지이다. 포은선생은 고려말엽까지 유행하던 몽고풍의 제도와 풍습을 고쳐, 명나라의 제도에 맞추게 하였으며, 개성의 오부에는 학당을, 지방에는 향교를 세워 유학을 진흥케하였다. 관혼상제의 제도를 주자가례에 따라 실시토록 하였다. 도암 이재선생은 주자가례를 바탕으로 사례편람(四禮便覽)을 저술하였다. 이 책은 관혼상제의 예절을 주자가례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재정리하여 저술한 것이다. 이 책은 우리나라의 예의범절에 관한 책 중 가장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기호지방을 중심으로 한 사대부 가정에서는 거의 집집마다 필수적인 책으로 소장할 정도였다. 그야말로 일상생활의 예전(禮典)이라 할만했다.

문의처
  • 개최장소 : 포은 정몽주 묘역(용인시 처인구 모현면 능원리 산3)
  • 개최시기 : 매년 10월
  • 행사프로그램 : 청소년백일장 / 청소년국악경연대회 / 포은선생천장행렬 / 포은선생추모제례 / 전국한시백일장대회 / 각종무대공연 등
  • 전화번호 : 031-324-2097
오시는 길

주소경기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능곡로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