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테마여행
타임머신 여행
용인 심곡서원
용인 심곡서원 사진 용인 심곡서원 사진 용인 심곡서원 사진

정암 조광조 선생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창건했다. 조광조 선생 사후인 1650년 건립됐으며, 같은 해 임금으로부터 ‘심곡(深谷)’이라는 사액을 받았다. 전학후묘 양식으로 조성한 서원에는 강당과 동·서재, 장서각, 그리고 조광조 선생의 위패를 봉안한 사당이 남아 있다.

문정공 조광조 묘 및 신도비
문정공 조광조 묘 및 신도비 사진 문정공 조광조 묘 및 신도비 사진 문정공 조광조 묘 및 신도비 사진

조광조 선생 묘는 용인 심곡서원에서 마주 보이는 응봉산에 자리한다. 묘역 입구 신도비를 지나 야트막한 언덕 묘가 자리한다. 조광조 선생 묘는 봉분 좌우에 문인석과 망주석이 각각 한 쌍씩 자리하고, 봉분 앞에 묘비와 혼유석을 나란히 배치한 형태다.

충렬서원
충렬서원 사진 충렬서원 사진 충렬서원 사진

1576년에 정몽주 선생의 학덕과 충절을 기리기 위해 세웠다. 몇 번의 중건과 복원을 거친 경내에는 동·서재와 장서각 같은 부속 건물 없이 사당과 강당만 남아 있다. 충렬서원의 독특한 구조를 통해 18세기 이후 강학 기능이 배재된 서원의 역할에 대해 알아볼 수 있는 공간이다.

정몽주선생묘
정몽주선생묘 사진 정몽주선생묘 사진 정몽주선생묘 사진

고려 후기 충신인 정몽주 선생이 묻힌 곳이다. 정몽주 선생은 교과서에도 실린 ‘단심가’를 지은 인물이다. 선생의 묘비에는 불사이군의 정신을 기려 고려시대 벼슬만을 적었다. 고려의 패망과 조선의 개국을 연계한 역사 교육에 더없이 좋은 장소다.

한국등잔박물관
한국등잔박물관 사진 한국등잔박물관 사진 한국등잔박물관 사진

세계 유일의 등기구박물관이다. 불을 조명으로 활용하는 등잔을 주제로 꾸몄다. 흙, 놋쇠, 나무 등으로 만든 다양한 등잔을 전시한다. 나만의 LED 제등 꾸미기, 각인각색 도자 등잔 등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우리나라의 조명 발달과정을 체험하고 공부할 수 있다.

용인 한산이씨 음애공파 고택
용인 한산이씨 음애공파 고택 사진 용인 한산이씨 음애공파 고택 사진 용인 한산이씨 음애공파 고택 사진

조선 중기 문신인 음애 이자 선생이 살던 집이다. 사랑채와 안채가 연결되어 있으면서 내외의 사용 공간을 구분한 평면구조는 조선시대 경기지역 중류주택에서 보이는 특징이다. 한옥 구조를 이해하고 팔작지붕과 맞배지붕의 위계 차이에 대해서 공부할 수 있다.

용인농촌테마파크
용인농촌테마파크 사진 용인농촌테마파크 사진 용인농촌테마파크 사진

도심에서 농촌을 만끽할 수 있는 공간이다. 12만㎡의 너른 부지에는 청소년이 좋아할 만한 다양한 공간이 마련됐다. 학생들에게 특히 인기가 좋은 곳은 곤충체험관. 국내외 나비목 곤충류 4500여 점을 비롯해 살아 움직이는 사슴벌레와 장수풍뎅이를 만날 수 있다.

예아리박물관
예아리박물관 사진 예아리박물관 사진 예아리박물관 사진

관혼상제를 통해 우리 전통문화의 흐름과 소중함을 배우는 박물관이다.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등 아시아권 장례문화를 설명한 전시관을 갖췄다. 효와 예절에 대해 배우는 교육 프로그램과 전통혼례를 체험하는 문화 프로그램도 운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