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감염병) 페스트 | ||
---|---|---|---|
부서명 | 보건정책과 | 등록일자 | 2019-11-14 |
조회수 | 520 | ||
파일 |
|
[페스트 발생 현황]
□ 발생 현황 ○ (국내) 페스트 환자나 페스트균에 오염된 설치류가 발견된 적 없음 ○ (국외) 오세아니아를 제외한 전 대륙에서 발생하며, ’90년대 이후로는 주로 아프리카에서 발생, 가장 많은 발생이 있는 지역은 마다가스카르, 콩고민주공화국, 페루 등임 - 그 외 아프리카(우간다, 탄자니아), 아시아(중국, 러시아, 키르기즈스탄, 몽골), 미주(볼리비아, 미국 등)에서 산발적 발생 보고 - ’10~’15년, 전 세계적으로 총 3,248명(사망 584) 발생했으며, 이 중 92%가 콩고민주공화국, 마다가스카르에서 발생 - ’17년 8~11월, 마다가스카르에서 페스트 환자 2,417명 발생(사망 209); 폐 페스트 1,854명, 림프절 페스트 355명; 의료진 감염 81명(사망 없음) - ’19년 2~10월 콩고민주공화국 이투리주에서 31명 환자발생 보고 - ’10~’15년 중국에서 10명*, ‘11~’19년 몽골에서 5명** 발생 보고 * 2010(5), 2011(1), 2012(1), 2014(3), ** 2011(1), 2014(1), 2015(3), 2019(1) [페스트 예방 및 행동수칙] ◈ 일반적인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 - 개인위생 (올바른 손 씻기 등) 수칙 준수 - 오염된 손으로 눈, 코, 입 등 점막 부위 접촉 삼가 ◈ 페스트 유행지역 여행 시 주의점 - 여행 전, 해외감염병 NOW.kr 홈페이지 방문하여 페스트 발생현황과 예방수칙 확인 * 2019.11월 현재, 마다가스카르가 오염지역으로 지정 - 아프리카 등 유행지역에서 쥐나 쥐벼룩, 야생동물, 이들의 사체 접촉금지 - 페스트 (의심)환자와의 접촉금지 ? 발열, 두통, 구토, 기침 등 페스트 의심증상을 가진 사람과의 접촉금지 ? 페스트 의심증상을 가진 사람의 체액, 가검물 등과의 접촉금지 ? 페스트 발생 및 유행지역 페스트 (의심)환자로 사망한 사람의 사체 접촉금지 ◈ 페스트 유행지역 여행 후 주의점 - 귀국 시 건강상태질문서를 작성하여, 검역 시 검역관에게 반드시 제출 - 귀국 후 7일간 발열 및 기타 관련 증상이 있을 시,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 또는 보건소로 먼저 신고 [질의응답] Q1 > 페스트는 사람에게 어떻게 전파됩니까? ☞ 동물을 통해서는 쥐나 야생동물에 감염된 벼룩에 물려 감염되거나, 감염된 동물의 체액 및 혈액 접촉 또는 섭취를 통해 전파 가능합니다. 사람 간 감염은 환자 또는 사망자 체액(림프절 페스트 환자의 고름)에 접촉하거나 폐 페스트 환자의 비말을 통한 호흡기 전파가 가능합니다. Q2 > 페스트의 잠복기는 어느 정도입니까? ☞ 감염 후 1~7일 (폐 페스트는 평균 1~4일)이 지나 증상이 나타납니다. Q3 > 페스트의 주요 증상은 무엇입니까? ☞ 발열, 오한, 두통, 전신 통증, 전신 허약감, 구토 및 오심 등의 임상 양상을 나타내며, 페스트 종류에 따라 림프절 부종이나, 수양성 혈담과 기침, 호흡곤란, 출혈, 조직괴사, 쇼크 등의 임상증상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Q4 > 페스트의 예방 및 치료는 어떻게 합니까? ☞ 일반적인 장내세균 항생제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치료 가능합니다. 다만, 잠복기가 짧아 조기 발견하여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증상 발생 후 2일 이내에는 항생제가 투여되도록 해야 합니다. Q5 > 페스트의 감염을 예방하려면 어떻게 하나요? ☞ 현재 유행지역을 방문할 경우 페스트균에 감염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는데, 현지에서 쥐나 쥐벼룩, 야생동물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사체도 만지지 않아야 합니다. 또한 발열, 두통, 구토 등 페스트 증상을 나타내는 (의심)환자와 접촉하지 않아야 하고 이들의 체액(림프절 고름 등)과 가검물 접촉에도 주의하여야 합니다. Q6 > 중국에서 페스트가 자주 발생하나요? ☞ 페스트는 오세아니아 대륙을 제외한 전 대륙에서 발생 중이고, 아시아에서는 중국, 러시아, 키르키즈스탄, 몽골에서 산발 발생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페스트는 이렇듯 새로운 질병은 아니나, 적기에 항생제 등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 사망률이 높은 질병이므로 특히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중국의 경우, 최근 10년 동안 10명 정도 환자 발생이 보고되었고 이 중 5명이 사망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과거 위생이 취약했던 시절인 1911년에서 1922년까지 동북지방을 중심으로 약 7만여명의 환자가 사망한 대유행이 있었으나, 1950년 대 이후 항생제 사용으로 치명률은 상당히 감소되었습니다. 특히 금번 환자 발생이 추정되는 중국 네이멍구자치구는 페스트 풍토병 지역에 해당하므로 해당 지역 여행을 계획하고 계신 경우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겠습니다. |
이전글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감염 예방을 위한 집단시설, 다중이용시설 소독 안내 |
---|---|
다음글 | 감염병으로부터 안전한 해외여행 준비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