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

사주당(1739~1821)은 조선시대 인성태교의 교본인 태교신기(胎敎新記)의 저자이며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태종의 지파인 경녕군(敬寧君)의 조(?) 11대 손으로
영조 15년(1739) 청주 서면(西面) 지동촌(池洞村)에서 출생하였다.

덕행과 총명함을 겸비한 어린 소녀 사주당

사주당은 어린 시절부터 길쌈이나 바느질 등의 집안 일은 물론 <소학>, <주자가례>, <여사서> 등을 읽고 공부하였는데
일년만에 이 모든 것을 마칠 만큼 총명하였으며, 부친은 독서에 탐닉하는 사주당을 보고
“ 옛날 고명한 선비들을 보면 그 어머니가 글에 뛰어나지 않은 분이 없었다.”고 하면서 딸의 학문을 장려하였다.
사주당은 출가 전에 이미 사서삼경(四書三經)을 섭렵하여 미묘한 이치를 깨우치는 경지에 도달하였으며,
주변의 이씨 문중 선비들도 앞서는 자가 없었다. 또한 사주당은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출가 전에는 부친을 위하여
고기를 먹지 않고, 솜옷도 입지 않았으며, 옛 제도를 지켜 행하고 행동마다 예훈(禮訓)을 따랐다.

유한규와 결혼하여 시어머니를 봉양하다

용인군 묘현촌에 세거(世居)하는 목천현감을 지낸 유한규와 결혼한 사주당은 시어머니가 연로하여 눈이 어둡고,
자주 격노하여 곁에서 모시기에 여간 어렵지 않았다. 그럼에도 사주당은 기꺼이 순종하여 받들어 모셨다. 이를 지켜본
시댁의 친척과 마을 사람들이 “신부는 나이가 어린데도 불구하고 힘드는 줄도 모르고 성낼 줄도 모른다”고
그의 천품과 덕행을 칭송하였다. 남편 유한규는 사주당을 귀중하게 여기고 도의(道義)로써 대하였다.
때로는 서로의 감정을 시로 읊으며, 때로는 심오한 학문을 담론하는 등 친분이 각별하였다.

네 자녀를 훌륭히 키우며 태교신기를 저술하다

사주당은 1남 3녀의 자녀를 가르칠 만한 내용들을 모아 육아독본(育兒讀本)으로 한 권의 가어(家語)를 저술하였다.
남편이 책이름을 교자집요<敎子輯要gt;라 지었고, 서(序)에 이르기를 “내훈(內訓)과 여범(女範)에 뒤떨어지지 않는다.”고
격찬하였으며, 이 책은 훗날 사주당의 대표적인 저서로 태교신기<胎敎新記>의 밑바탕이 되었다.

사주당이 45세 되던 정조 7년(1783)에 목천현감(木川縣監)으로 있던 남편이 66세로 세상을 떠나자 장례를
남편의 고향인 용인 관청동(觀靑洞)의 당 봉(奉)에 모시고. 어린 자녀들을 거느리고 남편의 묘소가 바라다 보이는
모현읍 매산리로 이사와서 살았으며, 그 당시 필요한 의식주를 구할 수 없을 정도로 너무 가난한 생활을 하였다.
그럼에도 자녀들의 학업은 중단하지 않았다. 궁핍한 가운데서도 사주당 자신과 네 자식을 깨끗하게 길러 먼 이웃의
사람들도 신임이 두터웠다.

아들 유희(柳僖 1773~1834)은 태어나면서부터 총명한데다 넓게 상고 (詳考)하여 경사(經史)를 연구하는데 많은 공을 세웠다.
또한 큰딸을 비롯해 둘째, 셋째딸 모두 부덕(婦德)이 뛰어나다고 칭송받았으며 훗날 <태교신기>가 간행되기에 이르자
아들 유희와 큰딸 둘째딸이 모친 사주당을 사모하는 애절한 글을 발문으로 남겼는데 그 문장 역시 매우 뛰어났다.
태교신기는 1800년 사주당이 태교에 대한 교본이 없음을 안타까이 여겨 1남 3녀를 태교한 경험과 본인이 저술한 육아독본인
교자집요에서 양태절목(養胎節目)만을 취하여 소의(少義)와 내칙(內則)에서 빠진 내용을 보충하고 열녀전(烈女傳),
대대예기(大戴禮記), 황제내경(黃帝內徑) 등에서 태교 관련 내용을 참작하여 저술한 것으로 아들 유희가 1801년 어머니의 원작을
장(章句)로 나누고 소주(小註)를 달았으며 음의(音義)를 언문(諺文)으로 해석하였다.

사주당 생을 마감하다

사주당은 인성태교의 교본인 태교신기의 저자로, 남자만이 유교적 도덕을 갖춘 군자의 삶을 살 수 있다는 이른바 유교적
남녀관이 팽배했던 조선시대에 당당히 여성 지식인으로 군자의 삶을 산 인물이었다. 유희의 봉양을 받으면서 지내다가
1821년(순조21) 9월 22일 향년 83세로 생을 마감하였으며 용인의 관청동 당봉에 장례하고 목천공과 합장하였다.

주요 참고자료

- 태교신기 / 이수경·홍순석 / 한국문화사 / 2011
- 박숙현의 태교신기 특강 / 박숙현 / 다빈치기프트 / 2013
- 태교신기(胎敎新記) 연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한문교육전공 / 유효실/ 2005
- 태교신기의 태교사상 연구 / 성균관대학교 / 여정희 / 2005
- 김민수의 <柳僖의 傳記 및 柑製> (새국어생활 제10권 3호) / 2000
- 경기여성웹진 우리 / 2001년 4월호
- 한국향토문화전사대전
-『한국인물대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9)
- 네이버 지식백과 외국인을 위한 한국고전문학자
- 네이버 인물 한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