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이성지
1.은이성지
청년 김대건길의 시작점이 은이성지입니다.
사진의 “김가항 성당”은 김대건 신부가 1845년 사제서품을 받은 성당입니다. 원래는 상해에 있었는데, 상해 도시개발사업으로 철거될 위기에 있던 성당을 원 건물의 구조재 일부를 들여와 국내에서 복원해 건립했습니다. -
은이성지
2.은이성지
은이는 “숨어사는 동네”라는 뜻으로, 천주교 박해시기에 숨어 살던 신자들에 의해 형성된 교우촌입니다.
김대건 신부가 생전에 세례를 받고 사목활동을 했던 곳이며, 순교 전 공식적으로 마지막 미사를 드린 곳이기도 합니다. -
포토존
3.포토존
은이성지 앞에는 청년 김대건길의 시작점을 알리는 포토존이 있습니다.
청년 김대건길은 신덕고개, 망덕고개, 애덕고개 3개의 고개와 각 고개를 잇는 등산로, 마을길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화장실은 은이성지, 와우정사, 장촌교차로, 미리내성지 총 4개소에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은이로211 카페
4.은이로211 카페
은이성지를 출발해 걷다 보면 바로 “은이로211” 카페가 나옵니다. 카페 오른쪽길로 올라가야 김대건 길입니다.
김대건길 경로 상 총 3개의 카페가 있는데 그 중 첫 번째 카페입니다.
망덕고개를 내려와서 묵3리 장촌마을에 카페가 하나 있고, 애덕고개 올라가기 직전에 또 하나가 있습니다. -
호동 마을길 이정표
5.호동 마을길 이정표
신덕고개로 가는 마을길입니다.
청년 김대건길 경로상에서 마을길 구간은 이렇게 둥근 이정표로 안내하고 있습니다. -
은이골 가족 캠핑장
6.은이골 가족 캠핑장
마을길을 걷다보면 “은이골 가족 캠핑장”이 나타납니다. 많은 분들이 여기서 망설이십니다. 캠핑장으로 들어가라고 안내는 되어있는데, 맞는 길인가 하는 의문을 가지시죠.
캠핑장 안으로 쭉 들어가시면 됩니다. 조금만 걸어들어가시면 다음 이정표가 눈에 잘 보이게 서있습니다. -
마을길 이정표
7.마을길 이정표
캠핑장에서 등산로 입구로 안내하는 이정표입니다.
첫 번째 마을길의 마지막 둥근머리 이정표. -
등산로 입구
8.등산로 입구
캠핑장에서 등산로 입구로 안내하는 이정표입니다.
첫 번째 마을길의 마지막 둥근머리 이정표. -
등산로 입구 이정표
9.등산로 입구 이정표
등산로에는 이런 이정표로 표시가 되어있습니다.
성지순례길이라는 표시 밑에 청년 김대건길, 그리고 김대건길의 BI가 음각으로 인쇄되어 있습니다.
은이성지로부터 1.2km 지점입니다. -
신덕고개 올라가는 길
10.신덕고개 올라가는 길
은이계곡 옆으로 신덕고개까지 올라가는 등산로입니다.
아직까지는 평이하고 부담없이 걸을 수 있는 경사도입니다. -
신덕고개 직전 경사
11.신덕고개 직전 경사
신덕고개 전에 경사가 급격히 급해지는 구간입니다만, 신덕고개까지 120m 가량, 상승고도는 16m로 여태까지 걸어온 길에 비해 급해진다 뿐이지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도 충분히 오를 수 있는 경사입니다.
-
신덕고개
12.신덕고개
신덕고개 정상입니다. 앞에 보이는 계단으로 내려가면 와우정사로 가는 길이 나옵니다.
왼쪽에 있는 계단으로 올라가게 되면 칠봉산 등산로- 문수산 등산로를 따라 애덕고개까지 등산로로만 연결되어 있습니다. -
와우정사 가는 길
13.와우정사 가는 길
신덕고개에서 내려오면 보이는 둥근머리 이정표.
여기서부터는 마을길이란 뜻이겠죠. -
와우정사 가는 길 사유지
14.와우정사 가는 길 사유지
조경림이 멋지게 조성된 길을 지납니다.
-
개 짖는 곳
15.개 짖는 곳
길이 끝날 때 즈음 초록색 철책이 나타나는 곳이 있는데요, 옆에서 반려견을 키우고 있어서 갑자기 짖는 소리가 들릴 수 있습니다.
멀찍이 따로 키우기 때문에 위험하진 않습니다만, 깜짝 놀라실 수 있으니 조심하세요. -
와우정사 전 철문
16.와우정사 전 철문
좀 더 내려오면 저런 대문이 나오는데, 그냥 옆으로 지나가면 됩니다.
-
와우정사 이정표
17.와우정사 이정표
와우정사에 도착했습니다. 청년김대건길을 계속 걸으실 분은 이정표대로 왼쪽으로, 와우정사를 둘러볼 분은 오른쪽으로 가면 됩니다.
-
와우정사
18.와우정사
와우정사는 1970년 세워진 사찰로 높이가 8m인 불두, 세계 최대의 목불상인 와불 등 여러 가지 이국적인 볼거리가 풍성한 곳입니다.
은이성지에서 와우정사까지가 3km인데요, 여기서 다시 왔던 길을 되짚어 돌아가시면 가장 걷기 편하고 경관이 좋은 청년 김대건길 “힐링코스” 6km를 걸으시는 것이 됩니다. -
와우정사 나가는 길
19.와우정사 나가는 길
와우정사에서 나오는 길입니다. 따로 인도가 없고 차량과 사람이 같이 이용하는 길이므로 안전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와우정사 출구
20.와우정사 출구
와우정사를 나오면 도로변이 나오는데요, 도로변에서 오른쪽으로 내려가야 합니다. 역시 둥근머리 이정표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
와우정사-석유공사삼거리
21.와우정사-석유공사삼거리
도로변 갓길을 걸어서 내려가게 됩니다. 갓길이 어느정도 여유가 있고, 중간에 따로 인도도 조성해 놓았지만 여전히 안전에 유의해야 하는 구간입니다.
-
석유공사삼거리
22.석유공사삼거리
와우정사 길을 다 내려오면 삼거리가 나옵니다. 이 삼거리에서는 왼쪽으로 갑니다. 갈림길마다 이정표가 잘 되어있으니 둥근머리 이정표만 찾아서 따라오면 큰 어려움 없이 이동할 수 있습니다.
-
호동삼거리 가는 길
23.호동삼거리 가는 길
여기서 호3통 마을 입구까지는 다시 도로변 갓길로 이동해야 합니다. 안전에 각별히 유의해야 합니다.
-
호3통 입구
24.호3통 입구
이정표를 따라 걷다 보면 갈림길이 나옵니다. 역시 둥근머리 이정표에 따라 오른쪽 들어가면 망덕고개 밑에 자리잡고 있는 “해실마을” 마을길로 들어서게 됩니다.
-
호동다리
25.호동다리
마을길을 조금 들어가다 보면 다리 앞에 사거리가 나오는데 다리를 건너 계속 올라갑니다.
-
공사현장 입구
26.공사현장 입구
해실마을 끝부분, 망덕고개 진입 초입에는 현재 세종-포천간 고속도로 공사가 진행 중입니다. 원래 김대건길 일부 구간이 공사현장에 편입되어 임시 우회로를 운영 중입니다.
-
공사현장 안내문
27.공사현장 안내문
해당 공사는 2022년 12월 준공 예정입니다. 공사가 준공되는 대로 다시 이용하기 편리한 길로 재정비할 계획입니다.
-
공사현장 우회로
28.공사현장 우회로
공사현장으로 들어가기 바로 전 오른쪽에 우회탐방로가 조성되어 있습니다.
-
공사현장 우회로 전경
29.공사현장 우회로 전경
공사구간을 우회하여 지나간 후 바로 망덕고개 등산로로 진입할 수 있는 임시 우회로입니다. 우회로를 올라가다가 왼쪽으로 건너가서 왼쪽에 보이는 등산로 진입로로 올라가야 합니다. 연두색 안내줄을 계속 따라가세요.
-
망덕고개 등산로 초입
30.망덕고개 등산로 초입
공사현장에서 망덕고개 올라가는 길로 본격적인 경사가 시작되는 지점입니다. 공사현장에서 망덕고개 정상까지는 약 800m, 누적상승고도는 80m정도입니다. 오르막길만 있는 것은 아니고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면서 망덕고개 정상까지 가는 길입니다.
-
망덕고개 첫번째 무덤
31.망덕고개 첫번째 무덤
망덕고개를 오르는 길에는 2곳의 묘소가 있습니다. 첫 번째 묘소를 만나면 묘소 오른쪽에 내려가는 길로 내려가야 합니다.
-
망덕고개 두번째 무덤
32.망덕고개 두번째 무덤
두 번째 묘소는 묘소를 돌아 뒤편으로 나 있는 길로 가야합니다. 원래는 우회하라는 현수막이 막고 있는 길로 내려가야 하지만, 공사현장으로 내려가게 되는 길이라 그 옆의 길로 우회해야 합니다.
-
망덕고개 직전 좌회전
33.망덕고개 직전 좌회전
마지막 급경사를 오르게 되면 왼쪽으로 가라는 이정표를 만나게 됩니다. 여기서 왼쪽으로 약 100m 가량 가게 되면 청년 김대건길의 두 번째 고개인 망덕고개에 도착합니다.
-
망덕고개
34.망덕고개
망덕고개와 전망대입니다.
-
망덕고개 계단
35.망덕고개 계단
망덕고개 옆에 있는 계단을 올라갑니다.
-
석포숲 갈림길
36.석포숲 갈림길
계단을 올라가면 갈림길이 나오는데, 왼쪽으로 가면 석포숲공원을 거쳐 애덕고개까지 이동하는 길, 오른쪽으로 내려가면 묵3리 장촌마을을 거쳐 애덕고개까지 이동하는 길입니다.
청년 김대건길 경로는 오른쪽으로 내려가는 마을길이지만, 아름다운 석포숲의 경관을 즐기며 편안한 능선길을 따라 애덕고개까지 가실 분들은 왼쪽 길로 가셔도 됩니다. -
석포숲 현위치 안내도
37.석포숲 현위치 안내도
갈림길에는 이용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안내도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
장촌마을 초입
38.장촌마을 초입
오른쪽 길로 임도를 따라 내려오다 보면 장촌마을로 들어가는 둥근머리 이정표를 만날 수 있습니다.
-
장촌마을 길
39.장촌마을 길
장촌마을은 마을길을 따라 개복숭아 나무가 심어져 있는 아름다운 마을입니다.
-
장촌마을 길
40.장촌마을 길
4계절이 아름다운 마을이지만 특히 봄꽃 필 무렵에는 개복숭아꽃이 만개하여 더욱 아름답습니다.
-
묵3카페
41.묵3카페
청년 김대건길 경로 상 2번째 카페인 묵3카페입니다.
-
장촌마을 출구 다리
42.장촌마을 출구 다리
장촌마을을 다 내려오면 다리가 나옵니다. 다리를 건너 왼쪽으로 가야합니다. 둥근 이정표를 보고 따라가면 됩니다.
-
묵리 인도
43.묵리 인도
도로 옆에 조성된 인도를 200m 가량 걸어갑니다.
-
묵리 인도 끝
44.묵리 인도 끝
인도의 끝자락에 다시 마을길로 들어가는 입구가 나옵니다. 둥근 이정표가 표시하는 대로 오른쪽 길로 올라갑니다. 마을길 입구에는 주차장과 화장실이 있습니다.
-
애덕산장
45.애덕산장
마을길을 따라 올라가면 청년 김대건길 경로 상 세 번째 카페인 애덕산장 카페가 나옵니다. 애덕산장을 돌아 왼쪽으로 올라가면 마지막 고개인 애덕고개 진입로가 나옵니다.
-
애덕고개 가는 길
46.애덕고개 가는 길
애덕고개로 올라가는 임도 길입니다. 애덕산장부터 애덕고개까지는 약 500m, 누적상승고도 70m 가량입니다.
-
애덕고개
47.애덕고개
세 번째 고개인 애덕고개입니다. 애덕고개를 지나 밑으로 약 500m정도 내려가면 안성 미리내성지가 나옵니다.
-
미리내성지 가는 길
48.미리내성지 가는 길
여기가 용인과 안성의 경계로 저 길을 내려가서부터는 안성입니다.
-
미리내성지 경당
49.미리내성지 경당
안성 미리내성지 경당입니다. 김대건 신부의 시신이 안치된 곳으로 청년 김대건길은 여기서 끝나게 됩니다.
미리내 성지가 궁금하신 분은 조금만 더 내려가서 미리내 성지를 둘러봐도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