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림사업
산림의 경제적·공익적 가치 증진을 위한 나무심기로 가치있는 산림자원을 조성하고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기반을 구축함
- 조림사업 종류
-
조림사업 종류에 대한 종류,사업개요,대상지,식재기준,보조율 정보 제공.
종류 |
사업개요 |
대상지 |
식재기준 |
보조율 |
경제림 조성 |
양질의 목재를 지속적으로 생산 공급하는 산림 |
경제림육성단지, 불량림 수종갱신지 등 |
낙엽송, 백합나무, 참나무류 |
국고60%
지방비30% 자부담10% |
큰나무 공익조림 |
경관조성 등 산림의 공익적 가치를 높이기 위한 조림 |
주요도로변, 관광지 및 생활권 주변 등 |
경관수종 |
국고50% 지방비50% |
큰나무 산림재해 방지조림 |
산불 병해충 피해지, 태풍 피해지 등 재해 산림의 복구 및 예방 |
재해 피해지 및 위험지 |
대묘 |
국고50% 지방비50% |
- 바이오매스용 수종
- 백합나무, 리기테다소나무, 참나무류, 포플러류, 아까시나무, 자작나무 등
- 조림 권장 수종(78개)
- 용재수종
-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가문비나무, 구상나무, 편백, 분비나무, 삼나무, 자작나무, 음나무, 버지니아소나무,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스트로브잣나무, 피나무, 노각나무, 서어나무, 가시나무, 박달나무, 거제수나무, 이태리포플러, 물푸레나무, 오동나무, 리기테다소나무, 황철나무, 백합나무, 들메나무
- 유실수종
- 조경수종
- 은행나무, 느티나무, 복자기, 마가목,벚나무, 층층나무, 매자나무, 화살나무, 산딸나무, 동백, 채진목, 이팝나무, 때죽나무, 가죽나무, 당단풍나무, 낙우송, 회화나무, 칠엽수, 향나무, 꽝꽝나무, 백합나무
- 특용수종
- 옻나무, 다릅나무, 쉬나무, 두충, 두릅나무, 단풍나무, 음나무, 느릅나무, 동백나무, 후박나무, 황칠나무, 산수유, 고로쇠나무
- 내공해수종
- 산벚나무, 때죽나무, 사스레피나무, 오리나무, 참죽나무, 벽오동, 해송, 은행나무, 상수리나무, 가중나무, 까마귀쪽나무, 버즘나무
- 내음수종
- 서어나무, 음나무, 주목, 녹나무, 전나무, 비자나무
- 내회수종